본문 바로가기
LIFEUP/금융정보

노후 생활비 계산해보기

by LIFEUP(라이프업) 2021. 4. 20.
728x90

노동으로 인한 소득은 유한하다. 당연히 내가 나이를 먹고 늙어감에 따라 노동력은 계속해서 감소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노동력을 가지고 있을 때 노후를 대비한 자산을 마련해야 한다. 재테크를 해야 하는 가장 원초적인 이유이다. 내 노동소득을 조금씩 시스템 소득으로 옮겨 담는 일은 누구에게나 필요하다. 하지만 누구도 정확히 내가 얼마의 시스템 소득을 준비해야 내 노후를 대비할 수 있을지 시원하게 대답하는 사람은 없다. 그래서 오늘은 내 노후를 위해 내가 얼마를 모아야 하는지 계산하는 법을 알아보자.

 

 

 

#1 주먹구구로는 절대 불가능한 은퇴자금 계산법

나에게 필요한 노후자금은 얼마일까? Photo by Matthew Bennett on Unsplash

우선 가계부를 작성하자. 가계부 작성을 통해 당신과 부양가족이 1년 정도 무난히 생활할 수 있는 금액을 파악해본다. 이제 은퇴하는 시점에 어느 정도의 자산이 필요한지 계산해보자.  

은퇴하는 날부터는 당신은 오로지 보유한 자산을 활용해 살아야 한다. 은퇴 시 어느 정도의 돈이 필요한지 모르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그런 주먹구구식으론 절대 제대로 된 은퇴자금 계산이 불가능하다. 

 

우리는 다음 세 가지 질문에 답할 수 있어야 한다. 첫째 은퇴할 때 얼마의 자금이 필요한가? 둘째 이를 위해 매월 어느 정도의 금액을 투자해야 하나? 셋째 어느 정도의 투자 수익률을 달성해야 하나?

예를 들어보자. 현재 30세 승상이는 50세까지 돈을 모으고 은퇴한 후 원금을 까먹지 않고 오로지 자본 수익만으로 여생을 지내고 싶다는 당찬 꿈이 있다. 50세부터는 월 300만 원 정도가 필요하다 가정하자. 예상되는 장기 물가상승률은 3%, 은퇴 후 투자를 통해 연 복리 8%를 벌 능력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그렇다면 승상이는 '300만 원×12÷0.08 = 4억 5천만 원', 즉 4억 5천만 원을 연 8%로 불리면 매년 3,600만 원, 월 300만 원의 소득이 생길까? 아쉽지만 이 계산은 틀렸다. 매년 3,600만 원이 생기는 것은 맞지만 앞서 배운 것과 같이 물가는 복리로 상승해 300만 원의 가치는 계속 감소해 현재와 동일한 생활수준을 유지할 수가 없다. 길게 설명했는데, 당신이 은퇴할 때 필요한 자금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R은 은퇴 후 기대 수익율이다. 기대 수익률은 보수적으로 잡기 바란다. 은퇴하면 공격적인 투자를 하기가 어렵다. 주식투자를 중단할 순 없지만 모든 자산을 주식에 올인할 수도 없다.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자연스레 일부는 부동산을 통해 월세를 받거나 예금 등 저위험 저수익 상품에 분산 투자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
 
i는 예상 물가상승률이다. 최근 물가상승률은 2~3%이지만 미래를 예측할 땐 항상 가장 나쁜 상황을 가정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이것도 보수적으로 높게 잡는 게 좋다.

n은 은퇴까지 남은 기간이다. 은퇴자금 계산 공식을 이용해 여러 가지 시나리오를 대입해보면 어느 정도 금액이 있어야 편히 은퇴할 수 있는지 감이 잡힌다.

 

 

 

#2 실전 은퇴자금 계산법

성아는 월 500만 원이 필요하고, 은퇴까지 20년이 남았다. 은퇴 후 연복리 9% 정도의 투자 수익은 자신이 있다. 현재 물가상승률은 4%로 예상한다. 성아의 은퇴 자금은 얼마일까?

답 : 60000000×(1+0.04)20÷(0.09-0.04) = 26억 2,934만 원

 


이렇게 은퇴자금을 파악하고나면 현재 내 순자산이 얼마나 필요한지, 이 순자산을 몇 %로 불려야 하는지, 이 금액이 모자라면 매 월 어느 정도의 금액을 추가로 적립해야 하는지를 구글에서 계산할 수 있다. 구글에서 'Investment Inflation Calculator(☜클릭)'를 검색해 보자.

 

 

구글의 인플레이션 계산기

•Investment Amount : 현재 내 재산
•Number of Years : 은퇴 시점까지 남은 기간
•Interest Rate : 연복리 수익률
•Contribution : 매월 추가로 적립하는 금액
•Annual Inflation Rate : 이미 은퇴자금을 계산할 때 반영했으므로 여기선 0으로 둔다

 

 

성아의 순자산이 4억일때 필요한 수익률과 은퇴시점

성아의 사례를 다시 보자. 만약 성아가 순자산이 4억 원인데, 20년간 9.5%로 불릴 수 있고, 월급은 다 써버리고 한 푼도 추가로 적립하지 않는다면? 계산기에 넣어보면 20년 후 4억이 26억 5,442만 원이 되어서 성아는 마음 놓고 은퇴할 수 있다.


그런데 만약 성아의 20년간 수익률이 5%였다면? 다시 계산기에 값을 넣어보면 매월 375만 원을 추가로 적립해야 20년 만에 은퇴를 위해 필요한 금액 26억을 만들 수 있다.

물론 다른 방법도 있다. 더 오래 일하는 것이다. 만약 20년이 아닌 25년간을 일하게 된다면 일단 필요한 순자산의 금액도 바뀐다. 인플레이션 때문에 지출 금액도 같이 늘어나야 하기 때문이다. 같은 이야기의 반복이 되기 때문에 여기서 추가로 더 계산해보진 않겠다.

결론적으로 은퇴자금 계산 공식과 구글 계산기를 사용해, 안전하게 은퇴하려면 지금 투자해야 하는 자산이 얼마인지, 매월 추가로 적립해야 할 금액이 얼마인지 계산해보면 된다. 연복리 수익률 10%와 15%는 하늘과 땅 차이다. 10% 버는 투자자는 15% 버는 투자자보다 2배의 기간을 일해야 한다. 이것이 복리의 마법이다. 향후 5~10년간 지출할 목돈을 예상해보라. 철수의 일생에서 봤듯, 주택구입, 결혼 자금, 부모님 병원비, 자녀 결혼 자금 등이 있다. 이 금액에 1.5를 곱한 후 그 금액은 투자 금액에서 제외해라. 항상 예측은 보수적으로 해야 한다.

 

 

연관 포스팅

- 당신의 돈이 녹아내리는 이유(feat. 단리와 복리의 차이점)

 

당신의 돈이 녹아내리는 이유(feat. 단리와 복리 차이점)

연 몇 프로 단리 이자, 복리 수익률 몇 프로 달성, 경제와 금융 기사에 많이 등장하는 단어다. 많은 사람들이 단리와 복리를 안다고 생각하지만 착각인 경우가 많다. 오늘은 단리와 복리의 차이

lifeupblog.tistory.com

- 자본주의 공략짐, 한 달에 천만 원 버는 방법(feat. 신사임당)

 

자본주의 공략집, 한 달에 천만 원 버는 방법(feat.신사임당)

신사임당 - 월 순익 1000만원 올리는 구조, 사기꾼이라고 해도 할말 없습니다. 유튜버 신사임당은 '돈'에 관심 있는 청년들에겐 이미 유명한 인플루언서다. tvN의 유명 예능 유 퀴즈 온 더 블록에도

lifeupblog.tistory.com

- 무조건 부자되는 법, 사회초년생들이여 자본주의를 이해하라

 

무조건 부자되는 법, 사회초년생들이여 자본주의부터 이해하라

출처 : Youtube 사피엔스 스튜디오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 위 영상을 우선 시청하길 추천하고 싶다. 채사장은 아주 단순한 예시 하나를 통해 우리에게 자본주의가 무엇인지 설명한다. 항상 이해하

lifeupblog.tistory.com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