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를 시작하기 전, 위 영상을 우선 시청하길 추천하고 싶다.
채사장은 아주 단순한 예시 하나를 통해 우리에게 자본주의가 무엇인지 설명한다. 항상 이해하기 어려운 얘기들을 이해하기 쉽고 편하게 만들어내는 채사장의 능력이 존경스럽다.
#1 노동을 통해 부자가 되는 것은 어렵다
채사장은 시작과 동시에 월급을 통해 부자가 되긴 어렵다고 못 박아두고 이야기를 시작한다. 맞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의 가치는 계속해서 떨어지고 있다.
내 부모님은 한 평생 일만 해오신 분들이다. 사치스러운 삶을 살지도 않으셨다. 남들 사는만큼 사오신 분들이다. 남들 다가는 해외여행 한 번 다녀와 본 적도 없다. 하지만 그분들의 노후는 지금도 불투명하다. 국민연금으로 한 달 생활비는 턱도 없고 모아놓은 자산도 변변치 않다. 은퇴는 꿈을 꿀 수도 없다.
당연하다 누구못지 않게 열심히 살았지만 그 돈으론 한 달 생활하고 필수품을 사는 데도 빠듯했기 때문이다. 거기에 자녀 셋을 키워냈으니 애들 뒷바라지도 만만찮았을 거다.
#2 부자가 되는 법 : 생산수단을 구매하라
우리가 돈을 주고 살 수 있는 것은 두 종류가 있다. 지금 당신이 마시고 있는 커피, 혹은 이동하면서도 실시간으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스마트폰, 조금 더 편리한 이동을 도와주는 자동차 등이 있을 수 있다. 우리는 이것을 생산품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생산품들은 쓰고 없어지거나 가치가 점점 닳아 없어진다.
나머지 한쪽에는 공장, 농장, 부동산, 기업 등 생산수단을 살 수도 있다. 이런 것들은 말하지 않아도 알 것이다. 가치가 줄어들지 않으며 오히려 소득을 창출해 낸다는 것을. 옛 우화에 나오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와 같은 것이다. 이 얘기를 듣고 바보가 아닌 이상 앞으로 우리가 사야 할 것이 생산품인지 생산수단인진 판단이 설 것이다.
#3 부자가 되는 법 : 자본시장을 이용하라
A은행과 B은행이 있다. 두 은행의 거리는 멀어서 두 은행 사이에는 꽤 큰 금리 차이가 있다. A은행은 금리가 1%, B은행은 금리가 10%다. 나는 A은행으로 가 100억의 대출을 받는다. 그리고 이 100억을 들고 B은행으로 가 100억을 예금으로 예치한다. 1년간 나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B은행에서 이자 10억을 포함한 내 돈 110억을 찾아 A은행에 101억을 갚아내면 나는 1년 만에 9억이란 소득을 벌 수 있다.
금리를 이용하면 쉽게 돈을 벌 수 있다. 돈을 번다는 것. 생각보다 참 쉽다.
#4 당신만 아직 모르고 있다
위 이야기를 듣고 어쩌면 당신은 배신감을 느끼고 있을지도 모른다. 혹은 장난치나?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그런 방법이라면 개나 소나 다하고 부자 됐지 않겠냐고 속으로 화를 내고 있을 수도 있다. 맞다. 사실 그게 문제다. 채사장의 말을 빌자면 개나 소나 다하고 있다는 게 문제다.
그렇다면 도대체 누가 안 하고 있을까? 바로 우리가 안 하고 있다.
자칭 성실한 사람들 그리고 노동을 통해 부가 창출된다고 믿는 사람들, 내가 열심히 일하고 땀 흘려 벌면 적어도 내 가족을 지키고 먹여 살릴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 말이다. 앞서 예를 든 내 부모님과 같은 사람들이다.
여러분들이 자본주의에 대해 알고 공부하게 된다면 지금껏 부모님과 학교를 통해 배운것과 다른 이야기에 화가 날 수도 있을 것이다. 나 역시 그랬다. 가정에서 학교에서 배운 성실함, 노동의 가치가 생각보다 헐 값에 거래되고 있다는 걸 안 순간 화가 나기도 했다.
하지만 중요한 건 내 믿음이 그동안의 내 노력이 헛되었다해도(물론 헛된 것은 없다) 내가 살아가는 이 세상의 시스템을 지금이라도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받아드릴 태도를 갖추었냐는 것이다.
나도 사회에 발을 들여놓은 지 10년이란 세월이 지났다. 하지만 자본주의 앞에선 아직 여러분과 같은 쌩초보와 다름없다. 그래서 여러분과 함께 공부해나가고 해쳐나가고자 용기 내어 지금 글을 적어 본다.
치열하고 고달픈 이 자본주의에서 우리 함께 살아남아보자.
관련포스팅
- 자본주의 공략집, 한 달만에 천만 원 버는 방법(feat. 신사임당)
자본주의 공략집, 한 달에 천만 원 버는 방법(feat.신사임당)
유튜버 신사임당은 '돈'에 관심 있는 청년들에겐 이미 유명한 인플루언서다. tvN의 유명 예능 유 퀴즈 온 더 블록에도 출연했고 SBS의 경제 예능 돈워리 스쿨의 진행자이기도 하다. 오늘은 과거 그
lifeupblog.tistory.com
'LIFEUP >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꺽이지 않는 부동산 상승행진, 추후 부동산 버블 붕괴의 가능성 (0) | 2021.03.11 |
---|---|
주린이를 위한 주식 기초용어 완벽정리 (0) | 2021.03.08 |
주식 분석 보조지표, 어떤 종류가 있을까? (0) | 2021.02.22 |
자본주의 공략집, 한 달에 천만 원 버는 방법(feat.신사임당) (0) | 2021.02.22 |
연금의 리밸런싱에 깊어지는 동학개미의 한숨 (0) | 2021.0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