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몇 프로 단리 이자, 복리 수익률 몇 프로 달성, 경제와 금융 기사에 많이 등장하는 단어다. 많은 사람들이 단리와 복리를 안다고 생각하지만 착각인 경우가 많다. 오늘은 단리와 복리의 차이점을 알고 이 차이가 왜 중요한지에 대해 얘기해보자.
#1 단리이자를 계산해보자
이자가 연 5%인 적금이 아직도 있다
9월에만 가입 가능한 5%짜리 '적금' 출시
1boon.kakao.com
위 기사를 보면 재테크 좀 한다는 사람들은 새마을금고, 저축은행 등에서 6%대 적금 특판 상품을 놓치지 않기 위에 은행 앞에 줄을 선다는 내용도 포함이 되어 있다. 결론은 연 5%대의 적금상품이 K뱅크에 출시되었으니 가입을 서두르라는 광고문구로 마무리한다.
여기서 잠깐 퀴즈 타임을 갖자. 가입금액 최대 월 30만 원/연 이자 5% K뱅크의 코드 K 자유적금을 넣었을 때 우리가 1년 후 받을 수 있는 이자의 총액은 얼마일까?
① 18만 원
② 9만 7,500원
③ 8만 2,485원
정답은 ③번 8만 2,485원이다.
#2 단리 이자 계산법
그럼 단리 적금 이자는 어떻게 계산이 될까?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방법은 월 30만 원씩 12개월을 납입하면 1년 총액이 360만 원이고 이 360만 원에 5%의 이자 보기① 18만 원이 붙는다고 생각하기가 쉽다. 하지만 실제 이자 계산법은 이것과 거리가 있다.
연 이자 5%가 의미하는 것은 1년간 은행에 거치되어 있을 시를 의미한다. 만약 2021년 1월에 내가 위 상품을 가입했다면 만기는 2022년 1월이 된다. 이때, 첫 달 납입한 30만 원에는 5%의 이자가 모두 붙는다. 하지만 2월에 납입한 원금에는 12분의 11만큼의 이자가 붙는다. 은행에 거치된 기간이 11개월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논리로 2021년 12월에 납입한 30만원에는 5%의 12분의 1만큼의 이자가 붙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총이자가 보기② 9만 7,500원이다.
하지만 잔인하게도 여기서 끝이 아니다. 세상의 모든 소득에는 이자가 붙는다. 9만 7,500원에 대한 이자소득세 15.4%를 제하면 1년 뒤 360만 원에 발생하는 이자는 보기③ 8만 2,485원이 된다. 그리고 이걸 12개월로 나누면 월 이자 6,873원이다.
앞서 말했듯 재테크에 좀 한다는 사람들은 특판에 맞춰 은행 앞에 길게 줄을 서 연이자 5%~6%대의 적금을 가입하는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고 했다. 하지만 이 특판 상품을 가입하기 위해 1시간 이상 줄을 기다렸다면 이미 손해 보는 장사를 하고 있는 건 아닐까 고민해봐야 한다.
*2021년 대한민국 최저시급은 8,720원이다.
#3 복리이자 계산법
복리이자는 일정기간 이자가 발생한 다음 그 이자와 원금을 모두 더해 다시 이자가 붙는 방식이다.
예시
1회 100원*10%=110원 - >: 2회 110원*10%=121원 ->3회 121원*10%=133원
즉 복리는 이자율이 높을수록 거치기간이 길어질수록 효과가 커진다. 흔히 말하는 스노볼 효과 중 하나가 이 복리효과다.
그렇담 실생활에 적용되는 복리에는 뭐가 있을까? 가장 대표적인 게 물가다.
물가의 상승은 단리로 올라가지 않는다. 재작년에 200원이었던 새우깡이 가격이 20% 올라 240원이 된 후 올해 다시 20% 가격 상승을 하면 이미 올라버린 가격 240원에 20%가 오르지 재작년 가격을 기준으로 올리지 않는다. 그래서 물가는 복리로 상승한다.
그런데 우리 대부분은 내 돈을 지킨답시고 1%대 이자의 적금이나 예금을 하고 있다. 당신의 돈이 녹아내리고 있는 이유다. 그래서 복리와 단리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고 당신의 돈을 복리로 굴릴 수 있는 방법을 지속적으로 찾고 공부해야 한다.
#4 복리이자를 받을 수 있는 투자는?
- 풍차 돌리기: 은행에서 만기 된 예적금을 이자까지 포함해 다시 예적금 하는 것을 말한다. 15.4%의 이자소득세와 짧은 만기가 단점이다.
- 연금보험 :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대표적인 복리저축 상품이다. 내가 낸 보험료에서 사업비 명목으로 수수료가 빠져나가 원금 도달 시점까지 장기간이 소요된다. 10년을 보유해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주식 : 소액으로 접근이 가능한 대표적인 투자방법이다. 원금손실의 위험이 있다.
- 부동산 : 주식에 비해 안정적인 투자 방법이지만 고액의 시드머니가 필요하며 국가의 정책에 많이 영향을 받는다.
관련 포스트
주식 분석 보조지표, 어떤 종류가 있을까?
주식을 처음 접하는 이들에겐 낯선 주식 용어들이 많다. 오늘은 주식을 분석할 때 이용하는 보조지표들에 대해 쉽고도 친절하게 풀이하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1 이평선 이동평균선은 주가의
lifeupblog.tistory.com
주린이를 위한 주식 기초용어 완벽정리
2020년은 혼돈의 한 해였다. COVID-19의 영향으로 2020년 3월 코스피는 한때, 1,400선이 무너지며 많은 투자자들을 두려움에 떨게 만들었다. 하지만 밀레니얼 시대의 유산인 유튜브와 각종 SNS의 보급은
lifeupblog.tistory.com
- 꺾이지 않는 부동산 상승행진, 추후 부동산 버블 붕괴의 가능성
꺽이지 않는 부동산 상승행진, 추후 부동산 버블 붕괴의 가능성
#1 집값, 전셋값 계속 오를 가능성 부동산.. 투자전략은? "무주택자는 사고 다주택자는 팔아라" 부동산 전문가들은 올해에도 부동산 가격은 오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그리고 합당한 부동산 투
lifeupblog.tistory.com
'LIFEUP >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후 생활비 계산해보기 (0) | 2021.04.20 |
---|---|
꺽이지 않는 부동산 상승행진, 추후 부동산 버블 붕괴의 가능성 (0) | 2021.03.11 |
주린이를 위한 주식 기초용어 완벽정리 (0) | 2021.03.08 |
주식 분석 보조지표, 어떤 종류가 있을까? (0) | 2021.02.22 |
자본주의 공략집, 한 달에 천만 원 버는 방법(feat.신사임당) (0) | 2021.02.22 |
댓글